본문 바로가기

건강 상식

당뇨병 환자 교육에도 건강보험 적용이 필요하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되는 질병입니다.




최근 당뇨병 환자와 당뇨 고위험군인 공복 혈당장애 환자를 포함하면 국내 당뇨병 인구는 1200만명으로 추정됩니다. 그래서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며, 당뇨병 환자 교육 등에 더 관심을 쏟아야 합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 보건 주제를 “당뇨병과의 전쟁”으로 정하고 당뇨병 극복을 위해 당뇨병 교육과 환자 스스로 철저히 자기관리를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뇨환자는 생활습관 개선과, 당뇨병 환자 교육을 통해서 당뇨병 예방을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 합니다. 당뇨약을 처방 받아 복용하는 것만으로 치료가 끝난다고 생각하면 병을 키울 수도 있습니다. 환자가 간호사 영양사 등을 통해 생활습관은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합병증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등을 당뇨병 환자 교육을 받아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중증도가 높은 소아당뇨, 임신성 당뇨, 신장이식 환자는 체계적인 교육이 더욱 중요합니다. 


인구 20% 이상이 당뇨 혹은 당뇨 전단계 질환을 앓고 있을 정도로 당뇨는 친숙한 질환입니다. 그만큼 관리에 소홀한 질환이기도 합니다. 당뇨병은 증상이 없는 병이지만 놔두면 심장, 뇌혈관, 콩팥, 눈 등에 치명적인 합병증이 올 수 있습니다. 또한 막대한 치료비 때문에 가정이 해체되기도 하고 사회활동이 힘들어지기도 합니다. 지난해 당뇨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1조8000억원에 달합니다. 그래서 학계에서 당뇨병 환자 교육에 건강보험 적용을 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당뇨가 있으면 3개월에 한 번씩 병원에 가서 검사와 당뇨병 환자 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직장에 다니는 당뇨환자가 구조조정 우선 대상자에 포함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소아당뇨 환자를 위한 지원도 확대해야 합니다. 학교에 다니면서 인슐린 주사를 제대로 맞지 않고 음식도 잘 챙겨먹지 않는 아이들이 흔합니다. 또한 수시로 혈당을 잴 수 있는 혈당측정기,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 펌프 등의 지원이 필요합니다.